![](https://t1.daumcdn.net/cfile/blog/1122AA04492F212303)
이 화장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이화동 1번지에 위치한 건축물로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집은 해방 후 귀국한 이승만이 안정된 거처를 마련하지 못해 불편한 생활을 하는 것을 알게 된 권영일 등 33명이 돈을 모아 1947년 이 집을 사서 기증했는데 이때부터 이화장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 집의 구조는 이승만 대통령 내외가 살던 본관, 내각을 구상하고 조각(組閣)을 발표했다는 조각당, 1985년 이화장의 효과적인 보존관리와 유족들의 생활을 위해 지은 생활관이 있다. 본관은 1988년부터 역사자료 및 이승만 대통령 내외가 평소 사용하던 가구 및 유품을 전시해 개방하고 있다.
이 화장은 우리나라 초대 이승만 대통령내외가 1947년부터 경무대로 이사하기 전까지 살던 가옥이다. 낙산공원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평소 육중한 철제대문이 닫혀 있지만 관람을 예약한 사람이 전화(02-762-3171)를 하면 문을 열어 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47F404492F213908)
이화장의 육중한 철문
![](https://t1.daumcdn.net/cfile/blog/1447F404492F213909)
이화장 동판
뜰에는 이 대통령의 동상이 서 있다. 좌측의 본관(전시관)으로 들어선다. 건물에는 남북통일(南北統一), 경천애인(敬天愛人), 민족정기(民族精氣), 안빈낙업(安貧樂業) 등의 친필휘호가 부착되어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5586D02492F221301)
정원의 이 대통령 동상
![](https://t1.daumcdn.net/cfile/blog/11586D02492F221402)
이 대통령 친필휘호(남북통일, 경천애인)
본관건물 외벽에는 지금까지 신문과 서적에서 보았던 귀중한 역사적인 사진이
액자에 넣어진 채 걸려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487104492F21DA01)
기념관 외벽의 사진 전시모습
![](https://t1.daumcdn.net/cfile/blog/15487104492F21DA02)
문화재해설사의 설명을 듣고 있는 방문객들
![](https://t1.daumcdn.net/cfile/blog/11487104492F21DA03)
![](https://t1.daumcdn.net/cfile/blog/11487104492F21DB04)
![](https://t1.daumcdn.net/cfile/blog/11487104492F21DB05)
오 스트리아 출신인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는 체구는 작지만 매우 아름다운 여성이다.
그녀의 소지품 중 핸드백은 모서리가 닳도록 사용했고, 몽당연필은 붓대를 끼워 썼다.
특히 양산을 30년 동안 사용할 정도로 늘 검소해 일반국민들에게 모범이 되었다.
나라가 어려울 때였지만 국모로서 참으로 검소한 생활을 했다.
하와이교민들은 1934년 결혼 당시 이승만이 외국인여성과 결혼하는 것을 반대했지만
나중에는 영부인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다고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1140301492F240D09)
소녀시절의 프란체스카(1916년 모습)
![](https://t1.daumcdn.net/cfile/blog/11140301492F240D0A)
![](https://t1.daumcdn.net/cfile/blog/11140301492F240E0B)
프란체스카 비망록
![](https://t1.daumcdn.net/cfile/blog/12140301492F240E0C)
유품과 핸드백
![](https://t1.daumcdn.net/cfile/blog/13140301492F240E0D)
각종 장신구와 악세사리
![](https://t1.daumcdn.net/cfile/blog/15140301492F240F0E)
서재의 책상에는 골동품 같은 타자기가 한 대 놓여져 있다.
이승만이 직접 타자를 치는 모습의 사진도 보인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55F1C01492F249B01)
이 대통령 서재와 낡은 타자기
![](https://t1.daumcdn.net/cfile/blog/115F1301492F248601)
![](https://t1.daumcdn.net/cfile/blog/115F1301492F248602)
이 대통령 비망록
![](https://t1.daumcdn.net/cfile/blog/135F1301492F248703)
침 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45F1301492F248704)
동상이 있는 곳의 언덕에는 조각당이라는 현판이 붙은 조그만 한옥이 있다.
정부수립 후 첫 내각을 구성하여 발표한 장소.
![](https://t1.daumcdn.net/cfile/blog/145F2501492F24DC01)
조각당
이 승만 대통령은 건국의 아버지로 불린다.
미국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해방과 더불어 귀국하여 미군정 종료후 대통령이 되었으며
6.25전쟁을 치르며 잿더미로 변한 나라를 부흥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제2차대전후 초강대국이 된 미국과의 우호협력관계를 돈독히 하고
한미방위를 튼튼히 하는 등 나라의 기초를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