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살(暗殺)이 암(癌)으로 죽는 것?… 不通사회 만드는 한자 문맹
입력 : 2014.01.01 05:29
[1] 漢字에 캄캄한 대한민국
한글 專用化 44년, 우리 사회는?
서울시민 절반, 자녀 이름 한자 못써
"어휘의 뜻 모르니 의미도 안 통해… 이대로 두면 지식의 확장 불가능"
1970년 ‘한글 전용화(專用化) 정책’이 이뤄진 지 44년, 이제 초등학교에서 한자(漢字)를 배우지 않은 세대가 50대 나이에 접어들었다. 20~30대는 물론 40대까지도 한자와 친숙하지 않은 시대가 됐다는 뜻이다.
서울에 사는 성인 남녀의 47.8%가 자녀의 한자 이름을 제대로 쓰지 못하는 한편, 이 문제점을 절감하고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찬성하는 학부모는 89.1%에 이른다는 통계도 있다. 기초적 한자의 뜻을 모르니 의미가 통하지 않는 불통(不通) 현상이 일어나고, ‘한자를 몰라 지식 확장이 봉쇄된다’는 심각한 문제 제기도 있다. ‘한자 문맹(文盲)’ 현상을 더 이상 방치하면 측정 불가능한 사회적 손실이 생긴다는 것이다.
"그분은 암(癌)에 걸려 돌아가신 거예요?"
서울의 이른바 '명문대' 교수인 A씨는 최근 한 학생과 대화를 하다 깜짝 놀랐다. '김구 선생이 암살로 돌아가셨다'고 했더니 학생이 이렇게 되물었던 것이다. '암살(暗殺)'이란 단어의 한자(漢字)를 모르니 '몰래 사람을 죽인다'는 뜻도 알지 못했던 것. A교수는 "한글 세대의 비극이 이제 갈 데까지 갔다는 생각이 들어 섬뜩했다"고 털어놨다.
◇이름도 전공도 한자로 못 쓴다
한글 전용(專用) 정책으로 한자가 교과서에서 빠진 지 44년, 이제 한자는 젊은 세대의 기피 대상을 넘어서서 '외계어(外界語)'나 '특수 문자' 취급을 받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선 한자를 입력하는 자판조차 사라졌고, 한글로만 적다 보니 잘못 쓰기 시작한 단어가 맞는 표기로 '정착'된 경우도 많다.
대학교수 B씨는 얼마 전 학생들에게 과제를 내면서 "되도록 한자를 많이 쓰라"고 했다. 표지에 자기 과(科)를 쓰면서 '行正學科(行政學科의 오류)' '火學科(化學科의 오류)'라고 써서 제출한 것이다. "도대체 자기 전공 과에서 무엇을 배우는지조차 모르고 있다"는 얘기다. 다른 대학의 중문과 C교수는 "대학 4학년이 돼도 '大韓民國(대한민국)'을 '大朝民回(대조민회)'라고 쓰는 형편"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D교수는 "한 제자가 서류를 떼러 동사무소에 갔는데 직원이 '지장도 괜찮다'고 하니 '지장도 안 가져왔는데요'라고 했다더라"고 했다. '지장(指章)'이 손가락 도장이라는 것을 모른 탓에 생긴 일이었다. '여관(旅館)'을 '여자들이 자는 집'으로 알고, '카드 결제(決濟)'를 '카드 결재'로 쓰는가 하면, '조인식(調印式)'의 '조인'을 영어 'join'인 것으로 이해한다는 하소연도 있다. 성균관대 이명학 교수의 2007년 조사 결과, 대학 신입생의 20.3%가 자기 이름을 한자로 쓰지 못했다.
- /그래픽=이철원 기자
◇"도서관 자료 90%가 사장될 것"
'한자 문맹(文盲)'은 '지식의 확장'을 불가능하도록 봉쇄한다는 점에서 가장 문제가 크다. 전광진 성균관대 중문과 교수는 "국어 어휘의 70%, 학술 용어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한자인데, 그걸 가르치지 않는 것은 지름길을 놔 두고 돌아가는 격"이라고 말했다. 수학의 경우 '타원(楕圓)'이 '길쭉한 동그라미' '이등변(二等邊)'이 '두 변의 길이가 같다'는 뜻이라는 걸 알면 단어에서부터 개념을 파악하고 들어가는 셈이라는 것이다.
'도서관의 퇴락'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진태하 인제대 석좌교수는 "한자가 많이 쓰인 1980년대 이전 책을 대학생이 전혀 읽지 못한다는 것은, 전국 대학 도서관에 소장된 자료 중 90% 이상이 그대로 사장(死藏)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진 교수는 "정치권과 교육 당국이 이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우선 최소한의 한자 교육부터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움말 주신 분]
강동호 문학평론가, 김미현 이화여대 교수, 김민정 시인, 김언종 고려대 교수, 박성원 계명대 교수, 박종성 서원대 교수, 박철화 중앙대 교수, 박형서 고려대 교수,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 이덕환 서강대 교수, 이도학 한국전통문화대 교수, 임동석 건국대 교수, 전광진 성균관대 교수, 진태하 인제대 석좌교수, 차명호 평택대 교수, 허동현 경희대 교수, 황종연 동국대 교수
- 어수웅 기자 |
- 유석재 기자 |
'우리들의 이야기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朝鮮八道의 地理的 特性 (0) | 2014.11.01 |
---|---|
낚시 명당? ‘방파제 구조물’ 위험천만 (0) | 2014.08.12 |
[한자 문맹(漢字文盲) 벗어나자] 어려운 古典만 가르치는 학교… 大韓民國도 못 읽는 학생들 (0) | 2014.01.20 |
안중근 의사(義士), 어떤 과목 진료했죠? (0) | 2014.01.06 |
요일 속에 신의 이름이 숨어 있다? (0) | 2013.12.13 |